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인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관계는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외현적인 행동의 상호교환으로 이루어집니다. 앞 장에서 살펴본 대인동기나 대인신념은 구체적 행동을 통해 상대방에게 표출됩니다. 그런데 사람마다 타인에게 호감을 주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전달하는 행동적 기술은 다릅니다. , 사람마다 사람을 사귀는 기술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세련된 사교적 기술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떤 사람은 타인과 사귀고 싶어도 미숙한 행동 때문에 실패하게 됩니다.

인간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을 대인기술이라고 합니다. , 대인기술은 인간관계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사할 수 있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능력을 의미하여 사회적 기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Phillips는 대인기술을 좀 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대인기술이란 자신의 권리, 요구, 만족 또는 의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동시에 타인의 유사한 권리, 요구, 만족 또는 의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동시에 타인의 유사한 권리, 요구, 만족, 의무를 손상시킴이 없이 타인과 자유스럽고 개방적인 교환관계 속에서 자신과 타인의 권리 등을 생산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으로 타인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첫째 대인기술은 자신의 권리, 요구, 만족, 의무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적 능력입니다. 대인기술의 두 번째 특징은 자신의 바람을 수행하되 타인의 권리, 요구, 만족, 의무를 손상시킴이 없이 행하는 기술이라는 점입니다. 인간관계는 동등한 인격과 권리를 지니고 있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입니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배려 없이 자신의 욕구만을 채우는 자기중심적이고 일방적인 행동적 능력을 대인기술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셋째, 대인기술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능력으로서 자신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잘 표현하여 전달하는 동시에 또한 상대방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 대인기술은 상대방의 마음을 잘 읽을 줄 알고, 자신의 마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욕구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기적 행동은 결국에는 인간관계를 훼손하기 때문에 결코 좋은 사회적 기술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나와 상대방이 모두 이득을 얻고 만족하게 될 때, 그 관계는 지속되고 심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인기술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행동적인 요인입니다.

Michlson 등은 대인기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첫째, 대인기술은 기본적으로 학습을 통해 획득되는 것입니다. 대인기술은 출생 후의 성장과정에서 후천적 경험을 통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배워 습득하는 것입니다. 부모를 위시한 가족, 친척, 친구, 동료와의 직접적인 관계 속에서 강화와 보상을 통해 학습되기도 하고 타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을 통한 모방학습에 의해 습득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대인기술은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으로 구성됩니다. 인간의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 역시 대인기술에 포함된다. 셋째, 대인기술의 적절성과 효과는 행위자, 상대방 그리고 상황의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행위자와 상대방의 나이, 성별, 지위 등에 따라서 특정한 사회적 행동이 적절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행동이 행해지는 상황이나 시기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대인기술은 인간관계에 관련된 사람의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대인기술은 타인으로부터의 사회적 보상을 극대화합니다. , 적절한 대인기술은 인간관계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 성과를 최대화합니다. 달리 말하면, 대인기술의 적절성은 인간관계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 성과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 대인기술

대인기술은 크게 비언어적 대인기술과 언어적 대인기술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 대인기술은 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표현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동양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사회는 서구사회에 비해 언어적 행동보다는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비언어적 문화를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언어적 행동을 잘 구사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에 의해서 표현되는 타인의 의도와 감정을 잘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능력을 눈치라고 한다. 한국사회에서는 비언어적 행동과 눈치를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언어적 대인기술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언어적 대인기술로서 활용될 수 있는 비언어적 소통수단은 매우 다양합니다. 첫째, 몸의 움직임은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얼굴표정, 눈맞춤 또는 눈바라봄, 몸동장이나 제스처, 몸의 자세 등과 같은 몸움직임을 통해 많은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둘째, 우리는 신체적 접촉을 통해 타인에 대한 감정과 태도를 표현합니다. 악수, 어루만짐, 팔짱낌, 어깨에 손얹기, 포옹 등의 다양한 신체적 접촉을 통해 서로에 대한 감정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로 머리모양, 옷차림새, 장신구, 화장, 향수와 같은 외모의 치장을 통해 많은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넷째, 공간의 사용 역시 여러 가지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상대방과의 공간적 근접도 및 거리나 상대방을 대하는 방향 등의 공간적 요인도 중요한 소통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만남의 장소, 상황, 분위기 등의 환경적 요인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대인기술입니다. 마지막으로 말의 강약, 완급, 음색, 말하는 방식 등 언어적 의미가 없는 음성적 행동도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는데 이를 부언어라고 합니다.